석등하대석石燈下臺石
Lower Base of Stone Lantern
석등하대석 石燈下臺石
Lower Base of Stone Lantern
전라북도 지정문화재자료 제143호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43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고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사찰의 금당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사이에 배치된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 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미륵사지 석등은 동원과 중원의 금당지 남쪽에 각각 1개씩 하대석만 남아 있으나 서원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발굴 조사 전 서원 지역에서 발견된 석등 하대석 위에 놓이는 기둥[竿柱石], 불을 밝히는 돌, 지붕돌 등이 국립전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동원과 중원의 석등 하대석에는 여덟 잎의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말기의 수막새와 같은 연꽃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석등 중 가장 오래된 백제시대 석등으로, 높이는 2.7m 내외로 추정된다.
Lower Base of Stone Lantern
전라북도 지정문화재자료 제143호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43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고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사찰의 금당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사이에 배치된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 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미륵사지 석등은 동원과 중원의 금당지 남쪽에 각각 1개씩 하대석만 남아 있으나 서원에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발굴 조사 전 서원 지역에서 발견된 석등 하대석 위에 놓이는 기둥[竿柱石], 불을 밝히는 돌, 지붕돌 등이 국립전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동원과 중원의 석등 하대석에는 여덟 잎의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말기의 수막새와 같은 연꽃 모양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석등 중 가장 오래된 백제시대 석등으로, 높이는 2.7m 내외로 추정된다.
<
>